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몸 : 운동

필라테스 기구 종류 - 캐딜락, 리포머, 체어, 바렐, 스프링 보드

by ⊙◑◐⊙ 2023. 3. 1.

필라테스는 기구와 매트를 사용하는 운동입니다. 필라테스가 수정 과정을 거쳐 클래식 필라테스와 모던 필라테스, 두 가지로 나뉘는 것처럼 기구 또한 다양하게 개량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구는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몸 상태에 맞게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각각의 기구 모두 단 한 가지 만으로도 코어 운동부터 전신 운동까지 가능합니다. 그럼 이제 대표적인 5가지의 필라테스 기구를 소개하겠습니다.


캐딜락(Cadillac)

필라테스 고수들이 멋지게 올라가 공중에 떠있듯 자세를 취하는 바로 그 기구입니다! 트라피즈 테이블이라고도 불리는 캐딜락은 정말 침대처럼 생겼습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이 달린 침대처럼요. 실제로 조셉 필라테스가 처음 수용소에서 움직임이 어려운 수용자의 재활을 위해 필라테스를 창시하게 된 것을 고려하면 필연적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움직이는 매트(캐리지)가 있는 리포머와는 다르게 캐딜락은 매트가 고정되어 있고, 때문에 지면과 수평한 공간 모두가 매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 모서리에 달린 네 기둥은 서로 또 다른 바(bar)로 연결되어 있어, 다양한 위치에 스프링이나 스트랩(strap) 등을 부착 시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코어 운동처럼 특정한 부위에 집중하는 운동을 하기에 좋습니다.
 

리포머(Reformer)

리포머는 정말 다양한 자세의 동작에 사용됩니다. 낮은 침대처럼 생긴 기구로써 '풋 바(foot bar)'에 발을 올리고 '캐리지(carriage)'라고 부르는 곳에 등을 대고 누워서 운동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풋 바란 발을 올릴 수 있는 지지대를 말하며, 캐리지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매트입니다. 처음 발을 푹 바에 딛고 누웠을 때에는 무릎이 접힐 정도로 캐리지와 풋 바 사이의 공간은 좁습니다. 이렇게 누운 상태에서 동작에 따라 다리를 펴며 캐리지를 위로 미뤄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포머에는 캐리지를 밀고 나아갈 수 있는 공간이 뒤쪽에 존재합니다. 캐리지 밑에는 스프링(Spring)이 있으며, 더 많은 스프링을 걸어 운동 강도는 높일 수 있습니다.
리포머는 그 캐리지 위에 앉거나 엎드려서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풋 바 밑에 위치한 스트랩(strap)을 손이나 발에 걸어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습니다. 풋 바 또한 발 뿐만 아니라 손으로 짚어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만큼 골반이나 척추의 정렬을 개선하고 코어의 안정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근력, 유연성, 신체의 균형을 높이는데 적합한 기구입니다.
 

체어(Chair)

체어는 이름 그대로 의자 같이 생겼습니다. 의자 다리 대신 두 면은 고정된 판으로 막혀 있으며, 또 다른 한 면은 한 쪽만 열리는 뚜껑처럼 앞으로 열리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 면을 페달(Pedal)이라고 하며, 상판 아래쪽까지 연결되는 스프링이 달려있습니다. 제조사에 따라 체어에 손잡이가 달려 있거나 하단이 뚫려 있는 모양을 한 기구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스프링의 개수와 높이를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달리 할 수 있습니다. 상판에 앉거나 측면으로 기대거나, 엎드려 스프링에 저항하며 페달을 손이나 발로 누르는 동작을 취합니다. 정말 엄청난 코어의 힘이 받쳐줘야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균형 감각을 키우는데 최적화된 기구입니다.
 

바렐(Barrel)

배럴이라고도 불리는 바렐은 사다리와 결합된 레더 바렐(Ladder Barrel)로 주로 사용됩니다. 골반 높이 정도로 상단 부분은 반원통으로 생겼으며, 꼭 말의 안장과 같이 생겼습니다. 주로 바렐과 사다리가 결합된 모양으로써 사다리와 바렐의 간격을 조절하여 개인의 체형에 맞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라테스 기구 중에서 유일하게 스프링이 없는 기구지만, 그 대신 스트레칭에 아주 탁월합니다. 바렐에 등을 밀착 시켜 스트레칭을 하거나, 사다리와 바렐에 기대어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척추기립근과 복근을 단련하는데 유리하고 유연성 강화에 효과적이며 자세 교정에도 으뜸입니다.
 

스프링 보드(Spring Board)

스프링보드는 이름 그대로 스프링이 달린 판입니다. 이를 벽에 고정하고 그 앞에 매트를 놓아 주로 사용합니다. 한 개의 커다란 판에 롤백(rollback) 스프링, 암(arm) 스프링 등 여러 개의 스프링이 달려있습니다. 스프링에 연결된 손잡이에 손이나 발을 끼워 동작을 취하고 스프링의 위치를 바꿔가며 그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프링으로 판에 고정된 롤백 바(bas)를 사용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는데 유용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필라테스의 역사와 같이 그 기구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기본 틀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운동의 목적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각 도구의 활용도와 목적을 이해하고 나니, 필라테스 시 자세에 더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